
함께 살면서 서울의 높은 주거비로 인해 혼자 거주할 때는 누릴 수 없는 다양한 편의 공간들을 나누어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1인 가구의 함께 사는 방식
사업시행자인 서울소셜스탠다드와의 협업으로 진행된 궁정동 사회주택은 서울시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제안 공모에서 첫 번째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시작되었다. 건축가는 1인 가구가 지배적인 시대적 변화에 주목하여, 그들이 희망하는 주거유형을 중요한 가치로 삼았다. 최근 청년들에게 주거 공간은 사적인 공간인 동시에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과 느슨하게 연대하여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매개체로 변모하고 있다. 함께 살면서 서울의 높은 주거비로 인해 혼자 거주할 때는 누릴 수 없는 다양한 편의 공간들을 나누어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궁정동 사회주택 프로젝트는 이러한 '따로 또 함께 사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대지의 위치는 청와대 인근의 궁정동에 있다. 남쪽으로 무궁화공원과 청와대 사랑채, 북쪽으로 북악산, 서쪽으로 인왕산 풍경이 조망되며, 동쪽으로는 청와대가 자리하는 특별한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이곳과 같이 서울의 최중심지에서 임대료를 최대한 낮추어 사회주택 취지에 부합하는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개별 거주 공간 면적 최소화가 불가피하다. 비록 물리적인 면적은 줄어들었지만, 근사한 풍경 등의 주어진 자원을 실내 공간으로 적극적으로 끌고 들어와 감각적으로 풍요로운 거주 환경이 조성되었다. 그렇게 극도로 제한된 건물의 볼륨 안에서 외부로의 조망이 최대한 확보된 집은 비좁은 내부에서도 감각적으로 여유로움을 누릴 수 있는 공유공간을 갖게 되었다.
건물에는 HBE(구조용 집성재 패널)와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혼합되었다. 기술상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음에도 이러한 복합구조가 선택된 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부족한 예산으로 인해 시공비 부담이 큰 상황에서 공사 기간을 단축하여 비용을 절감하려는 목적, 두 번째는 저렴하게 공급되는 사회주택이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인식되는 상황 개선이다. 건축주는 이 집에 거주하게 될 청년들에게 나무로 둘러싸인 양질의 환경에서 거주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복합구조를 원했다고 한다.
국내업체에서 개발한 HBE는 고가의 CLT(구조용 집성판)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낮은 비용으로 동등한 성능의 목구조 건축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한 대안이다. 내부 공간에서 HBE 패널을 벽과 천장에 별도의 마감 없이 그대로 노출하여, 청년들에게 저렴하지만 환경 측면으로 우수한 거주 공간을 제공하고자 했다. 한편, 화장실, 샤워실, 보일러실, 세탁실, 주방과 같이 물의 사용에 민감한 습식공간들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채택하여 하자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CLT(구조용 집성판): 두꺼운 집성판을 합판처럼 서로 교차시켜 접착시킨 구조용 목재 제품
이에 더해 지상 1층과 지하 1층 근린생활시설에는 계획과정에서 친환경 발효식품을 메인으로 다루는 카페 겸 식당이 섭외되었다. 주택과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라운지 역할을 하도록 기획되었으며, 주거 공간이 시작되는 지상 2층부터 4층까지 3개 층에는 총 11명이 거주할 수 있는 11개의 방과 함께 사용하는 주방이 배치되었다.

공유주방 및 거실
11개의 방을 연결하는 내부 계단 중간에는 아늑한 커뮤니티 공간이 있다. 이는 수직적인 동선의 연결과 함께 입주민들의 휴식과 교류를 자연스레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부 계단과 주방과 같은 공유공간에서 외부 조망이 최대한으로 가능하도록 계획한 큰 창들은 비좁은 집 내부에서도 감각적인 여유로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사회주택은 높은 지가와 건축비를 고려할 때, 양질의 거주 공간과 적절한 수익성이라는 쉽게 잡을 수 없는 두 가지 토끼를 쫓는 프로젝트이다. 궁정동 사회주택 프로젝트는 이러한 조건 안에서도 건축가가 최적의 결과물을 끌어내기 위해 고민한 결과물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인 젊은 세대의 주거 문제가 심각하게 부각되는 현 상황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들에게 건강한 거주 공간과 풍요로운 생활을 담아낼 수 있는 집을 제공하기는 여전히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다. 건축가는 그 해답을 찾는 데 이 프로젝트가 또 한 걸음 다가간 사례로 남게 되길 바랐다.
콘텐츠 제휴 | 세상의 모든 건축이야기, 에이플래폼
설계 | 구보건축사사무소 https://www.gubowork.com/
사진| studio texture on texture
랜선 집구경은 동네에서 1인 생활자가 살기 좋은, 머무르기 좋은 공간을 소개합니다.
함께 살면서 서울의 높은 주거비로 인해 혼자 거주할 때는 누릴 수 없는 다양한 편의 공간들을 나누어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1인 가구의 함께 사는 방식
사업시행자인 서울소셜스탠다드와의 협업으로 진행된 궁정동 사회주택은 서울시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제안 공모에서 첫 번째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시작되었다. 건축가는 1인 가구가 지배적인 시대적 변화에 주목하여, 그들이 희망하는 주거유형을 중요한 가치로 삼았다. 최근 청년들에게 주거 공간은 사적인 공간인 동시에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과 느슨하게 연대하여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매개체로 변모하고 있다. 함께 살면서 서울의 높은 주거비로 인해 혼자 거주할 때는 누릴 수 없는 다양한 편의 공간들을 나누어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 높은 가치를 두고 있다. 궁정동 사회주택 프로젝트는 이러한 '따로 또 함께 사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대지의 위치는 청와대 인근의 궁정동에 있다. 남쪽으로 무궁화공원과 청와대 사랑채, 북쪽으로 북악산, 서쪽으로 인왕산 풍경이 조망되며, 동쪽으로는 청와대가 자리하는 특별한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이곳과 같이 서울의 최중심지에서 임대료를 최대한 낮추어 사회주택 취지에 부합하는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개별 거주 공간 면적 최소화가 불가피하다. 비록 물리적인 면적은 줄어들었지만, 근사한 풍경 등의 주어진 자원을 실내 공간으로 적극적으로 끌고 들어와 감각적으로 풍요로운 거주 환경이 조성되었다. 그렇게 극도로 제한된 건물의 볼륨 안에서 외부로의 조망이 최대한 확보된 집은 비좁은 내부에서도 감각적으로 여유로움을 누릴 수 있는 공유공간을 갖게 되었다.
건물에는 HBE(구조용 집성재 패널)와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혼합되었다. 기술상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음에도 이러한 복합구조가 선택된 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부족한 예산으로 인해 시공비 부담이 큰 상황에서 공사 기간을 단축하여 비용을 절감하려는 목적, 두 번째는 저렴하게 공급되는 사회주택이 열악한 주거환경으로 인식되는 상황 개선이다. 건축주는 이 집에 거주하게 될 청년들에게 나무로 둘러싸인 양질의 환경에서 거주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복합구조를 원했다고 한다.
국내업체에서 개발한 HBE는 고가의 CLT(구조용 집성판)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낮은 비용으로 동등한 성능의 목구조 건축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한 대안이다. 내부 공간에서 HBE 패널을 벽과 천장에 별도의 마감 없이 그대로 노출하여, 청년들에게 저렴하지만 환경 측면으로 우수한 거주 공간을 제공하고자 했다. 한편, 화장실, 샤워실, 보일러실, 세탁실, 주방과 같이 물의 사용에 민감한 습식공간들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채택하여 하자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였다.
*CLT(구조용 집성판): 두꺼운 집성판을 합판처럼 서로 교차시켜 접착시킨 구조용 목재 제품
이에 더해 지상 1층과 지하 1층 근린생활시설에는 계획과정에서 친환경 발효식품을 메인으로 다루는 카페 겸 식당이 섭외되었다. 주택과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라운지 역할을 하도록 기획되었으며, 주거 공간이 시작되는 지상 2층부터 4층까지 3개 층에는 총 11명이 거주할 수 있는 11개의 방과 함께 사용하는 주방이 배치되었다.
공유주방 및 거실
11개의 방을 연결하는 내부 계단 중간에는 아늑한 커뮤니티 공간이 있다. 이는 수직적인 동선의 연결과 함께 입주민들의 휴식과 교류를 자연스레 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부 계단과 주방과 같은 공유공간에서 외부 조망이 최대한으로 가능하도록 계획한 큰 창들은 비좁은 집 내부에서도 감각적인 여유로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사회주택은 높은 지가와 건축비를 고려할 때, 양질의 거주 공간과 적절한 수익성이라는 쉽게 잡을 수 없는 두 가지 토끼를 쫓는 프로젝트이다. 궁정동 사회주택 프로젝트는 이러한 조건 안에서도 건축가가 최적의 결과물을 끌어내기 위해 고민한 결과물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인 젊은 세대의 주거 문제가 심각하게 부각되는 현 상황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들에게 건강한 거주 공간과 풍요로운 생활을 담아낼 수 있는 집을 제공하기는 여전히 어려운 숙제로 남아있다. 건축가는 그 해답을 찾는 데 이 프로젝트가 또 한 걸음 다가간 사례로 남게 되길 바랐다.
콘텐츠 제휴 | 세상의 모든 건축이야기, 에이플래폼
설계 | 구보건축사사무소 https://www.gubowork.com/
사진| studio texture on texture
랜선 집구경은 동네에서 1인 생활자가 살기 좋은, 머무르기 좋은 공간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