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기 다른 평면과 색상은 임대 세대 거주자들에게 공간의 특별함을 선사하며 도심 속에서 살아가는 나를 인지시킨다.



서울의 가장자리이자 오래된 계획지구 문정동. 계속되는 도시 성장으로 인한 도시 경계 변화 속에서 지속적인 개발선상에 놓여있는 동네이다. 그 안에서 건물은 지상 1층의 근린생활시설과 5개의 임대 세대, 그리고 복층의 주인 세대로 구성된 작은 복합빌딩으로 자리한다. 건물이 가진 이러한 세 가지 프로그램은 각기 다른 색깔과 재질, 물성을 통해 입면으로 먼저 드러난다. 낮은 톤의 클래식한 벽돌 박스와 알루미늄 패널로 덮인 하얀 사다리꼴 형태가 각각 임대 세대와 독특한 구조의 주인 세대 공간을 외부로 투영시킨다.
임대 세대
1층 근린생활공간은 빠르게 변화하는 가로의 분위기와 그곳을 채운 상업 공간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주거 공간의 정문과 함께 눈에 띄는 색이 적용되어 건물에 활기를 더하고, 다시 한 번 명확하게 프로그램을 구분한다. 주거 동선에서 첫 번째로 마주하는 내부 계단 또한 층에 따라 다양한 색이 적용되어 색깔만으로 몇 층에 있는지 인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별 색 구분은 임대 세대 현관까지 이어져 주거 경험이 내외부로 확장될 수 있게 한다. 각기 다른 평면과 색상은 임대 세대 거주자들에게 공간의 특별함을 선사하며 도심 속에서 살아가는 나를 인지시킨다. 건물 내 모든 임대 세대에는 각각 외부공간까지 조성되어 있으며, 붉은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내외부 모두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모든 창문의 철 프레임은 파사드를 강조할 뿐 아니라, 건물의 단열과 방수기능 또한 보완하도록 설계되었다.

1층 현관

1층 주차장

2,3층 임대세대 내부

2층 계단실

3, 4층 계단실
주인 세대
4층과 5층, 두 개 층에 걸쳐 자리한 주인 세대는 주택에서 보기 힘든 넓은 면적의 계단을 가지고 있다. 전면의 넓은 창을 통해 도심을 바라볼 수 있어 단절되지 않은 시각적 · 공간적 연속성을 부여하는 계단은 작은 객석이자 모임 장소, 가족생활의 무대가 된다. 이때 천장에 설치된 레일 조명이 공간 활용에 맞춰 다양한 연출까지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주인 세대에는 단독주택처럼 실내외에 걸쳐 다양한 활동을 영위하고 싶었던 건축주를 위해 최대한 넓은 베란다가 조성되었다. 베란다는 마당의 역할을 하며 친구들을 불러 바비큐 파티를 하거나 운동을 하고, 식물 등을 기르는 공간으로, 서울 도심에서 단독주택과 같은 주거 경험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제휴 | 세상의 모든 건축이야기, 에이플래폼
설계 | 요앞건축사사무소 http://yoap.kr
사진| 류인근
↓ '문정동 벽돌 위 하얀집'이 있는 동네, 우리동네 문정역 자세히 보기 ↓

랜선 집구경은 동네에서 1인 생활자가 살기 좋은, 머무르기 좋은 공간을 소개합니다.
각기 다른 평면과 색상은 임대 세대 거주자들에게 공간의 특별함을 선사하며 도심 속에서 살아가는 나를 인지시킨다.

서울의 가장자리이자 오래된 계획지구 문정동. 계속되는 도시 성장으로 인한 도시 경계 변화 속에서 지속적인 개발선상에 놓여있는 동네이다. 그 안에서 건물은 지상 1층의 근린생활시설과 5개의 임대 세대, 그리고 복층의 주인 세대로 구성된 작은 복합빌딩으로 자리한다. 건물이 가진 이러한 세 가지 프로그램은 각기 다른 색깔과 재질, 물성을 통해 입면으로 먼저 드러난다. 낮은 톤의 클래식한 벽돌 박스와 알루미늄 패널로 덮인 하얀 사다리꼴 형태가 각각 임대 세대와 독특한 구조의 주인 세대 공간을 외부로 투영시킨다.
임대 세대
1층 근린생활공간은 빠르게 변화하는 가로의 분위기와 그곳을 채운 상업 공간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주거 공간의 정문과 함께 눈에 띄는 색이 적용되어 건물에 활기를 더하고, 다시 한 번 명확하게 프로그램을 구분한다. 주거 동선에서 첫 번째로 마주하는 내부 계단 또한 층에 따라 다양한 색이 적용되어 색깔만으로 몇 층에 있는지 인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층별 색 구분은 임대 세대 현관까지 이어져 주거 경험이 내외부로 확장될 수 있게 한다. 각기 다른 평면과 색상은 임대 세대 거주자들에게 공간의 특별함을 선사하며 도심 속에서 살아가는 나를 인지시킨다. 건물 내 모든 임대 세대에는 각각 외부공간까지 조성되어 있으며, 붉은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내외부 모두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모든 창문의 철 프레임은 파사드를 강조할 뿐 아니라, 건물의 단열과 방수기능 또한 보완하도록 설계되었다.
1층 현관
1층 주차장
2,3층 임대세대 내부
2층 계단실
3, 4층 계단실
주인 세대
4층과 5층, 두 개 층에 걸쳐 자리한 주인 세대는 주택에서 보기 힘든 넓은 면적의 계단을 가지고 있다. 전면의 넓은 창을 통해 도심을 바라볼 수 있어 단절되지 않은 시각적 · 공간적 연속성을 부여하는 계단은 작은 객석이자 모임 장소, 가족생활의 무대가 된다. 이때 천장에 설치된 레일 조명이 공간 활용에 맞춰 다양한 연출까지 가능하게 한다. 더불어 주인 세대에는 단독주택처럼 실내외에 걸쳐 다양한 활동을 영위하고 싶었던 건축주를 위해 최대한 넓은 베란다가 조성되었다. 베란다는 마당의 역할을 하며 친구들을 불러 바비큐 파티를 하거나 운동을 하고, 식물 등을 기르는 공간으로, 서울 도심에서 단독주택과 같은 주거 경험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제휴 | 세상의 모든 건축이야기, 에이플래폼
설계 | 요앞건축사사무소 http://yoap.kr
사진| 류인근
↓ '문정동 벽돌 위 하얀집'이 있는 동네, 우리동네 문정역 자세히 보기 ↓
랜선 집구경은 동네에서 1인 생활자가 살기 좋은, 머무르기 좋은 공간을 소개합니다.